EHD 란..?
- 유체 윤활 (Hydrodynamic Lubrication)
- 서로 접해 있는 두 물체의 틈에 적절한 윤활유를 공급하여 얇은 유체막을 형성한다. 이 유체막은 두 물체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분리하여 마찰을 줄이고, 결과적으로 표면 마모를 방지한다.
- 하지만 유체 윤활이 항상 완벽히 작동하는 것은 아니며, 윤활유의 점도가 낮거나 상대 속도가 충분하지 않아서 유체막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마찰과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.
- EHD 툴킷
- 시스템의 동역학적 거동에 대하여 탄성 유체의 윤활 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3차원 해석 툴킷이다.
- 베어링-저널의 고속 회전운동, 피스톤-실린더의 고속 병진운동에서 접촉면에 대한 윤활효과를 정의하고, 윤활막의 두께 및 압력변화 예측으로 윤활 최적화가 가능하다.
EHD 툴킷
- Rotational Lubrication (EHD Bearing)
- 저널 베어링의 고속 회전 운동 시, 베어링과 저널 사이의 접촉면에 대한 유체 윤활 해석을 지원한다.
- 오일 Hole과 Groove 효과를 고려할 수 있다.
- Volume flow rate 결과를 통해 축방향으로 유입, 유출 되는 유량 확인이 가능하다.
- Piston Lubrication
- 피스톤의 고속 병진 운동 시,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접촉면에 대한 유체 윤활 해석을 지원한다.
- 고속 운동시 발생되는 피스톤의 Tilting에 대한 유체 윤활막의 압력 및 두께 변화 확인 가능하다.
- MFBD와 EHD간의 인터페이스
- MFBD 솔버는 시스템의 동역학을 수행하여 위치와 속도 데이터 및 힘, 토크, 압력, 두께 정보를 EHD솔버로 전달합니다.
- EHD 솔버는 MFBD 솔버에서 계산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윤활 상태(압력 및 두께)를 분석합니다.
피스톤 윤활 모델링 과정
- 피스톤과 실린더에 대한 RFLEX 바디 생성
- RFLEX 바디: 변형에 대한 모드 형상이 포함된 RFLEX바디를 준비한다.
- PatchSet: EHD 영역을 정의하기 위해 RFLEX 바디에 PatchSet 생성한다.
- 피스톤 윤활 (Piston Lubrication) 생성
- PistonLub 선택한다.
- 생성 옵션을 선택한다.
- 실린더 바디를 선택한다. [Base Body]
- 실린더에 Base Marker가 생성될 위치를 선택한다.
- 피스톤 바디를 선택한다. [Action Body]
- 피스톤에 Action Marker가 생성될 위치를 선택한다.
- 피스톤 윤활 관련 속성 설정
- Geomery Dimentions
- Piston Diameter
- Piston Height
- Cylinder Diameter
- Cylinder Height
- RFLEX
- Piston.PatchSet
- Cylinder.PatchSet
- Adjust Node Position Option
- RFlex Body의 경우, 메시 품질에 따라 노드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, 정확한 EHD결과를 위해서는 반드시 ‘nominal radius’를 고려하여 노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.
- RFlex Body의 경우, 메시 품질에 따라 노드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, 정확한 EHD결과를 위해서는 반드시 ‘nominal radius’를 고려하여 노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.
- Oil Properties
- Dynamic Viscosity
- Pressure-Viscosity Coefficient
- Asperity Contact Properties
- Roughness
- Composite Elastic Modulus
- Elastic Factor
- Friction Coefficient
- Mesh Grid Setting
- Circumference Node No.: 둘레 방향 노드 개수
- Axial Node No.: 축방향 노드 개수
- Oil Hole & Groove Effects Setting
- Mesh Grid Circumference & Axial Node No.
- Pressure
- Film Thickness: 경계조건으로 사용될 막의 두께
- Height Length
- Reference Marker
- Number of Height
- Thickness (Height, Thickness)
- Up/Down Storke Signal
- 사용자가 정의한 막의 두께 (film thickness)는 up stroke와 down stroke 에 따라 달리 정의할 수 있음.
- 이 때, 사전에 설정한 expression을 통해 up/down 상태를 판별하게 됨
- Negative value(-) à Down-Stroke User Oil Film
- Positive value(+) à Up-Stroke User Oil Film
- Output Point for Clearance: 동작 중에 사용자가 지정한 피스톤 상의 지점과 실런더 사이의 틈새 크기를 출력
- Height
- Angle
- Reference Marker
- Contour 설정
- Contour Type
- Projection
- 3D Surface
- Pressure Type
- Asperity
- Hydrodynamic + Asperity
- Hydrodynamic
- Min/Max Option
- Cut Off Pressure
- Color Option
- Contour Type
- Geomery Dimentions
- EHD 결과 확인
'RecurDyn > Toolkit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압력-침하 모델에 따라 지면 특성을 고려한 트랙차량 주행특성 분석 (0) | 2025.08.19 |
---|---|
멀티코어를 활용한 해석속도 향상 시키기 (SMP) (1) | 2025.07.09 |
Acoustics 소음 분석 툴킷 (0) | 2025.03.20 |
Vibration Shape Toolkit (0) | 2023.03.13 |